설치
먼저 볼륨 Mapping을 위한 config 및 media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. 제 경우 아래와 같이 생성을 하였습니다.
/volume1/docker/plex/config
/volume1/docker/plex/media
Docker 설치에 앞서 자신의 계정에 대한 "PUID"와 "PGID"를 확인 합니다.
# id 계정명
여기서 uid값 (PUID)과 gid값 (PGID)를 기록해 둡니다. 제 경우 uid=1026, gid=100 입니다.
Docker를 설치 합니다.
# docker run -d --name=plex --net=host \
-e PUID=1026 -e PGID=100 \
-e TZ=Asia/Seoul \
-e VERSION=docker \
-e UMASK_SET=022 \
# Volume Mapping에 대한 옵션이며 원하시는 경로와 Mapping 하면 됩니다.
-v /volume1/docker/plex/config:/config -v /volume1/docker/plex/media:/media:rw \
--restart always linuxserver/plex:latest
다른 곳에 media file들이 있다면 그곳과 "/volume1/docker/plex/media"를 Symlink로 바로가기 연결해 주시면 좋습니다.
# ln -s [원본 파일명] [대상파일명]
NAS의_내부접속은 "IP:32400/webweb" 입니다.
[주의]
설치 후 첫번째는 반드시 Plex Server가 있는 같은 대역대의 Local 네트워크에서 접속하여 계정설정을 진행하셔야 합니다.
VPN 같은것도 안되고 반드시 동일 네트워크에서만 가능합니다. 한번 인증하시면 이후부터는 외부 접속이 가능합니다.